본문 바로가기
주식, 부동산 재테크 정보/주식 인사이트

미국 장기 채권 TLT 투자 : 분산투자로 안전 자산 모으기

by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2021. 5. 20.
반응형

주식을 늘려 나가면서 같이 늘려야 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주식과 음의 상관관계인 투자물을 늘려나가는 것입니다.

 

보통 우리는 안전 투자라고 하는 것들인데요

그건 금, 달러, 채권 등 상황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리 안전 자산이라고 하여도

시대 상황에 따라 예전같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포트폴리오 구성은 자산을 지키기 위해서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이런 안전자산 투자는

사실 큰 수익을 바라고 한다라기 보단, 

경기침체에 대한 리스크를 햇지하기 위한

보호막 정도로 생각하고 조금씩 늘려나가고 있습니다.

 

한동안 달러가 하락했었고

국내 주식의 수익, 블로그 수익, 근로소득에서

생긴 일부분을 달러를 조금씩 사놓았습니다.

 

이것 또한 당장에 환차익을 노리는 것보단

저렴할 때 사두고 이걸 가지고 잘 활용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미국 주식 중 평소 사고싶었던 주식이 있었다면

저렴하게 사놓은 달러로 해당 주식이 하락했을 때

조금씩 사는 것도 환투자와 기대 수익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방법이죠.

 

그래서 달러와 함께 꾸준히 안전자산으로 모을 수 있는

미국 장기 채권 TLT입니다.

 

우선 저도 초보 투자자이고 주변에도 초보투자자들이 많기에

제가 공부한 내용을 함께 공유하면서 적어보겠습니다.

 


채권이란?

 

채권은 국가, 기업, 지자체 등에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증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개인과 개인사이에 돈을 빌릴 때 차용증이란걸 쓰지요?

정부에서도 돈을 빌리려면 단기,중기,장기 기간을 정해

채권을 발행하게 됩니다.

이걸 우리는 국채라고 합니다.

이러한 채권은 또 하나의 금융 상품이 되어 매매가 이루어 지는거죠.

 


미국 장기 채권 TLT

iShares 20+ Years Treasury Bond ETF 

 

TLT 채권의 10년 차트입니다.

수익률은 43.15%로 나오네요.

10년에 43%라면 주식투자를 하는 분들은 고작?이라고

하실 수 있겠지만,,, 

이 채권 투자를 잘 활용한다면

리스크 있는 주식을 햇지하면서

꾸준히 자산을 불릴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입니다.

 

2020년 2월 코로나 직후 급 상승 후

현재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습니다. 채권은 안전자산이므로

경제 전망이 좋지 않을 때 보통 오르게 됩니다.

 

미국에서 어마한 경기부양책을 내놓으니

시장에 돈이 많이 풀렸고, 그런 돈은 자산시장으로

들어오게 되면서 채권은 자연스레 빠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진 코로나 이전의 수준까지

떨어지지 않은 것을 본다면 

여전히 일부는 안전자산을 선호하고 있다는 얘기가 아닐까요?

 

현재 경기 부양책으로 실물경제는 조금 회복 되었겠지만

채무는 쌓이고 있습니다.

채권은 채무가 늘어날 수록 수익률이 높아집니다.

 

 

안전자산이라고 한다해서 늘 +수익인건 아닙니다.

차트를 보셨겠지만 하락구간도 분명 존재합니다.

그러니 하락구간에서 조금씩 준비를 해놓고

햇지를 하면 좋단 생각입니다.

 

중요한건 TLT의 경우 배당(이자)을 지급한다는 점입니다.

꾸준히 모으면서 약 1.5프로의 이자 수익을 얻는다고

생각한다면 마음 편히 모을 수 있지 않겠습니까?

 

초보 투자자들도 조금씩 자산 분배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무조건 상승은 없습니다. 

a가 오르면 b가 떨어지게 되어있습니다.

그럼 a를 팔고 그 수익으로 떨어진 b를 사고

b가 오르면 다시 a를 사모으면서 리밸런싱을 하면 됩니다.

 

우린 승리코드를 기억하고 천천히

성공하는 습관을 들여야합니다.

 

현재 투자금이 작다고해서 간과할 부분은 아닙니다.

자산을 지키면서 모아가봅시다!

 

 

 

 

미국채권투자

미국etf

미국주식사는방법

tlt

미국장기채권

안전투자

달러투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