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부동산 재테크 정보/주식 인사이트

비츠로셀 : 자신감 있고 믿을만한 회사 투자하기(ess관련주)

by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2020. 9. 24.
반응형

 

오늘 공부할 회사는 '비츠로셀'

 

처음 공부하는 회사는 아니고

2018년부터 관심을 가지던 회사입니다.

 

실제로 작년과 올 4월 두차례에 걸쳐 투자를 했었고

수익을 가져다줬던 종목 중 하나입니다.

 

 

이 회사를 처음 알게된 계기는

비츠로셀 회사의 공장 화재 전소 사건입니다.

 

 

 

 

이렇게...공장이 홀라당 타버렸습니다.

 

이때 주주들의 심정은....과연 어땠을까요

 

 

 

 

 

공장 전소로 인해 약 1년간 거래정지였던 비츠로셀.

주주들의 마음은...참 암담했겠습니다.

 

하지만 비츠로셀을 공부했던 주주라면

사실 걱정은 되었겠지만 강한 믿음이 있었으리라 생각듭니다.

 

저 또한 이 회사를 18년도에 공부했을 당시

17년도 공장 전소 이후 빠르게 회복하는 매출,영업익을 보고

와..대단하다라는 생각과 동시에

이런 와중에 비츠로셀 직원을 단 한명이라도 해고시키지 않았다는 점

장승국 대표의 자신감과 의리로 저는 이 주식을 매수했었습니다.

 

 


비츠로셀 어떤 회사인가요?

 

 

 

간단히 요약하면 주 사업은 리튬 일차전지이며

리튬일차전지 업계에서 세계 3위, 국내 1위 기업이다.

 

 

1. 스마트 그리드

 

그린 산업의 핵심인 '에너지 세이빙 산업' 및 에너지 개발

모니터링 분야의 산업용 장비에 장착되는 전지 시장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기존에 기계식으로 사용하던 전기, 수도, 가스

미터기가 디지털화 되고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송,수신 기능이 추가된 Srnart Meter로 변경되고 있는 추세이며

유틸리티 미터 전원으로는 10년 이상의 장기 사용이

요구되며 그 기간동안 외부 환경조건(온도, 습도)에 안정적인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지는 '비츠로셀'의 주력제품인

Li/soc12전지가 유일합니다.

 

2. 오일, 가스 Operation

 

3. 파이프 라인 검사

 

4. 군수무기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산업의 성장성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과 유비쿼터스 산업의 실용화 등

산업적 요구와 더불어 전자 기기의 발달로 장비의

디지털화, 휴대화에 의해 전지를 사용하는 장비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위 체적당,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가장 우수한

리튬일차전지의 수요는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경쟁상황

 

 

비츠로셀의 주력 제품인 Li/SOCl2 시장의 경우, 

세계 1위 업체인 SAFT(프랑스)가 2000년 2위 업체인

Tadiran(이스라엘)을 자회사로 인수함으로써

약 50%의 시장점유율을 보이며 

독보적인 시장점유율 1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리튬일차전지 산업은 시장크기에 비해

초기투자 비용이 매우 크고, 시장진입에

상당한 기간 및 어려운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손익분기를 넘기는 기간까지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초기 자본이 필요하며 높은 시장 진입 장벽을 극복해야합니다.

 


재무

 

 

 

비츠로셀 비츠로테크 대주주 보유지분 38.70%

 

두번째로 높은 Scion Asset Management

위 사모펀드는 바로 그 유명한...

빅쇼트의 주인공인 마이클 버리의 회사.

 

다음으로는 카우보터매니지먼트 또한 미국계 사모펀드이다.

 

 

 

 

 

2017년 공장 전소때를 제외하면

재무는 아주 예쁘고 깔끔하다...

이런 회사가 좋더라.

 

적정주가를 계산해보니 지금 수준 정도인데...

과연 얼마나 더 성장할 것인가가...관건이다.

 

음..매력적인 회사지만

아무리 좋은 회사라도 언제 매수하냐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니... 조금씩 지켜봐야한다.

 

오랫동안 알고 있던 회사를 오랜만에

다시 꺼내보았다..여전히 탄탄한 느낌이 든다.

 

 

여기까지 비츠로셀 다시 들여다보기 끝.

 

 

 

 

비츠로셀

비츠로셀 주가

비츠로셀 ess

반응형

댓글